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

고지서가 두 장? 재산세와 종부세, 도대체 뭐가 다른 건가요? 고지서가 두 장? 재산세와 종부세, 도대체 뭐가 다른 건가요?최근에 집 한 채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면 이런 경험 하셨을 수도 있어요.“7월에 재산세를 낸 것 같은데... 12월에 또 다른 고지서가 왔어요. 이번엔 종합부동산세라고 써 있네요. 같은 집인데 또 내야 해요?”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는 전혀 다른 세금입니다.이 둘은 부과 목적도 다르고, 계산 방법도 다르고, 심지어 부과 주체도 다릅니다.1. 재산세란?재산세는 집이나 건물, 토지 같은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는 기본 세금이에요.이 세금은 지방자치단체(구청, 시청 등)가 부과하고, 거둬들인 돈은 지역 행정에 사용됩니다.납부 시기는 일반적으로 1년에 2번, 7월과 9월입니다. (금액이 작을 경우 한 번에 부과되기도 .. 2025. 4. 12.
양도소득세 계산법 완전 정리 – 기초 개념부터 절세까지 양도소득세 계산법 완전 정리 – 기초 개념부터 절세까지 부동산을 팔 때 내야 하는 대표 세금이 바로 양도소득세입니다. 매도 시 생긴 ‘차익’에 부과되며, 보유 기간·거주 여부·주택 수에 따라 세율 및 공제가 달라집니다. 1. 양도소득세 기본 계산 구조양도소득세는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①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② 과세표준 = 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 – 기본공제(250만 원)③ 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2. 용어 해설양도가액: 실제 매도 금액취득가액: 실제 취득 금액 + 등록세, 취득세 등 부대비용필요경비: 중개수수료, 리모델링 등 입증 가능한 비용장기보유특별공제: 보유·거주 기간에 따른 공제기본공제: 1년에 1회, 250만 원 공제 (1세대 1주택자.. 2025. 4. 11.
취득세 계산법 완전 정리 – 주택 수 따라 세율 총정리 취득세 계산법 완전 정리 – 주택 수 따라 세율 총정리 취득세는 부동산을 새로 취득할 때 발생하는 지방세로, 구매자 본인에게 부과되며 잔금일 또는 등기일 중 빠른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1. 주택 수·금액별 기본 세율1주택자 (6억 이하)6억 이하1.0%1주택자 (9억 초과)9억 초과3.0%조정지역 2주택자모든 금액8.0%조정지역 3주택자모든 금액12.0%2. 특수 취득 유형 요약분양권: 중도금 시 X, 잔금 시 취득세 발생증여: 공시가 기준으로 취득세 부과 (3.5%)상속: 취득세 면제, 단 등기 수수료 발생 3. 계산 예시1주택자 / 6억 원 주택: 세율 1% → 600만 원 + 부가세 ≒ 660만 원조정지역 2주택자 / 10억 주택: 세율 8% → 8,000만 원 + 부.. 2025. 4. 10.
1가구 2주택 양도세 계산법, 중과 피하는 방법까지 총정리 1가구 2주택 양도세 계산법, 쉽게 정리했습니다 요약: 1가구 2주택인 경우 양도세가 중과될 수 있습니다. 다주택 중과 여부, 보유 기간, 실거주 요건 등을 고려해 양도세가 달라지며, 계산 방식과 예외 조항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1가구 2주택 양도세 기본 개념양도소득세는 부동산 매매로 생긴 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1가구 2주택자는 기본적으로 양도세 중과세율이 적용되며, 일부 조건을 충족할 경우 비과세 또는 완화가 가능합니다.2025년 기준 양도세율 정리1주택자 (2년 이상 보유)비과세 또는 기본세율1가구 2주택자기본세율 + 중과세율 20~30%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기본세율 + 중과 20% (장기보유특별공제 제외)양도세 계산 예시서울에 아파트 2채를 보유한 A씨가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한 채.. 2025.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