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금 정리실

취득세 계산법 완전 정리 – 주택 수 따라 세율 총정리

by 부동산 안내서 2025. 4. 10.

취득세 계산법 완전 정리 썸네일


취득세 계산법 완전 정리 – 주택 수 따라 세율 총정리

취득세는 부동산을 새로 취득할 때 발생하는 지방세로, 구매자 본인에게 부과되며
잔금일 또는 등기일 중 빠른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1. 주택 수·금액별 기본 세율

1주택자 (6억 이하)6억 이하1.0%
1주택자 (9억 초과)9억 초과3.0%
조정지역 2주택자모든 금액8.0%
조정지역 3주택자모든 금액12.0%

2. 특수 취득 유형 요약

  • 분양권: 중도금 시 X, 잔금 시 취득세 발생
  • 증여: 공시가 기준으로 취득세 부과 (3.5%)
  • 상속: 취득세 면제, 단 등기 수수료 발생

3. 계산 예시

  • 1주택자 / 6억 원 주택: 세율 1% → 600만 원 + 부가세 ≒ 660만 원
  • 조정지역 2주택자 / 10억 주택: 세율 8% → 8,000만 원 + 부가세 ≒ 8,400만 원
  • 조정지역 3주택자 / 15억 주택: 세율 12% → 1억 8,000만 원 + 부가세 ≒ 1억 8,900만 원

4. 자주 묻는 Q&A

Q. 분양권 샀을 때는 언제 취득세 내나요?
A. 중도금 납부 시점엔 해당되지 않고, 잔금일 기준 60일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
Q. 공동명의면 주택 수 어떻게 계산돼요?
A. 1세대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공동명의라도 세대 내 주택 수가 2채면 다주택으로 간주됩니다.
Q. 카드 납부도 가능해요?
A. 위택스 등 지자체 시스템에서 카드 납부 가능하며 일부는 분납 신청도 됩니다.
Q. 증여받은 집에도 취득세 내나요?
A. 네. 공시가격 기준으로 3.5% 부과되며 고가주택은 중과될 수 있습니다.

관련 글 더 보기

요약 박스

- 취득세율은 주택 수 + 지역 + 금액 따라 달라짐
- 조정지역 다주택자일수록 세율 급상승
- 증여, 상속 등 특수취득 시 예외 규정 적용됨
- 60일 이내 납부 필수, 미납 시 가산세 발생





※ 블로그 운영자가 직접 운영 중인 공간입니다. 조용한 휴식이 필요하실 때, 아래 공간도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