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격증은 땄는데,
“이제 뭘 먼저 해야 하지?”
막상 개업하려니 머릿속이 하얘지셨죠?
→ 이 글은 공인중개사 자격을 갖고 있지만 실무는 처음인 분을 위해 개업까지의 전 과정을 한눈에 정리한 실무 가이드입니다.
개업 준비, 어디부터 손대야 할지 모르겠다면?
자격증은 땄지만,
• 사무소 위치는 어디가 좋을지
• 등록은 어디서 하는 건지
• 세금 신고는 어떤 순서로 해야 하는지 막막하셨죠?
→ 막연한 불안감, 그게 바로
많은 중개사가 실무로 나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예요.
▌준비가 부족하면 시간도 비용
도 두 배
‘사무소만 열면 되는 줄 알았는데
등록에 필요한 서류가 이만큼이나?’
‘세무신고를 몰라서 개업일 놓쳤어요…’
중개사무소 개설은 단순한 사무실 임대가 아니라
공식적인 등록 + 신고 절차를 포함한 ‘사업 개시’입니다.
준비 없이 시작하면
• 등록 지연
• 임대료 낭비
• 광고 시기 놓침
→ 시간도 돈도 손해입니다.
▌개설 절차, 이 순서대로 따라오
세요
① 사무실 위치 선정
• 주거지와 거리, 유동인구, 경쟁 사무소 확인
• 주거전용 오피스텔은 개설 불가
• 중개사무소 개설 가능한 건축물인지 먼저 확인!
② 사무실 임대 계약
• 명의는 공인중개사 본인
• 임대차계약서와 건축물대장 필요
• 임대료 예산 설정: 보증금·관리비 포함
③ 중개사무소 등록 신청 (시·군·구청)
• 공인중개사 자격증 사본
• 등록 신청서
• 임대차계약서
• 사무소 도면 (간단하게 그려도 무방)
• 중개보조원 고용 시 함께 등록 가능
④ 등록세·수수료 납부
• 등록세: 관할 구청에 신고 후 고지서 발급
• 보증보험 가입 후 등록 완료
⑤ 국세청 사업자등록 신청
•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 중개업은 면세사업자
• 사업 개시일 이전 신청 권장
Tip. 국세청 등록은 사업자번호가 있어야
간판, 명함, 광고, 통장 등 일체를 만들 수 있어요.
▌개설 전 꼭 점검해야 할 3가지
1. 등록 완료 전엔 광고 불가!
→ 네이버 지도, 블로그, 명함 배포도 등록 이후에
2. 간판 규정 위반 주의
→ 상호 + 소재지 + 전화번호 명시 필수
→ 지나치게 큰 간판, 상호 중복은 민원 유발 가능
3. 중개보수 요율표 부착 의무
→ 사무실 입구 또는 내부 벽면에 부착 필요
→ 지자체별 요율표 출력 가능
▌이런 분께 꼭 필요한 글이에요
• 자격증은 있는데 실무를 시작 못 하고 계신 분
• 중개사무소를 언젠간 열고 싶은 예비 개업자
• 현직 중개인인데 등록 절차를 다시 정리하고 싶은
분
▌지금 이 글을 저장해두세요
개업 준비는 생각보다 빨리 닥치고,
막상 시작하려면 ‘뭘 모르는지도 모르는’ 상황이 옵니다.
이 글은 중개사무소 개설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불안하지 않게 한 발씩 내딛을 수 있도록 만든
실전형 정리 가이드입니다.
'부동산 실전 가이드 > 공인중개사 실무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개의뢰서, 확인설명서 실전 적용법 | 소비자와 중개사 모두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0) | 2025.03.28 |
---|---|
계약서 작성 실수 사례 | 조항 하나로 달라지는 결과 (0) | 2025.03.28 |
부동산 거래신고 위반 시 과태료와 자진 신고를 통한 과태료 감경·면제 방법 (0) | 2025.03.17 |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이란? (0) | 2025.03.16 |
공인중개사의 법적 의무 및 부동산 거래 신고 의무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