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세금 정리실

2024년 주택취득세율 총정리

by 부동산 안내서 2025. 3. 25.

“집 살 때 세금이 이렇게 다르다고요?”

 
주택을 살 때 내야 하는 취득세,
집값도 부담인데 세금까지 꽤 크다고 느끼실 겁니다.

특히 2024년 기준으로는 주택 수, 금액, 세대 상황에 따라
취득세율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하고 사는 게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주택 취득세율
1 주택자, 다주택자, 생애최초 구입자 등 상황별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취득세란?

부동산, 차량, 기계 등을 취득할 때 내는 지방세로,
주택 거래 시 사는 사람이 납부해야 합니다.

지방자치단체에 납부되며, 대출이나 계약서 작성과는 별도로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2024년 주택 취득세율표

기본 세율 (1 주택자 기준)

주택 가격세율
6억 원 이하1.0%
6억~9억 원1.0~3.0% (누진세)
9억 원 초과3.0%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는 감면 대상일 수 있어요.


다주택자 취득세율 (조정대상지역 기준)

주택 수세율
2주택8%
3주택 이상12%

※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경우 일반세율이 적용됩니다.


취득세 계산 예시

  • 1 주택자, 5억 원 아파트 → 5억 × 1% = 500만 원
  • 2 주택자, 5억 원 아파트 → 5억 × 8% = 4,000만 원 
  • 1 주택인지 2 주택 인지, 조정대상지역인지 아닌지에 따라 엄청난 차이가 납니다.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감면

다음 요건을 만족하면 취득세 감면 가능합니다.

  • 본인 명의 첫 주택
  • 주택가격 1.5억~4억 이하 (지역별 기준 다름)
  •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맞벌이 1억 이하)

▶ 정부 24 생애최초 주택 구입 감면 안내


중요 체크포인트

  • 등기일 기준으로 주택 수 판단
  • 조정대상지역 여부 반드시 확인
  • 기혼자는 세대 합산으로 주택 수 판단

정리하자면

2024년 현재, 1 주택자와 다주택자의 취득세율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계약 전에 미리 계산해 보고,
감면 요건도 꼭 체크하세요!
 
▶ 주택 관련 세금 계산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