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살 때 세금이 이렇게 다르다고요?”
주택을 살 때 내야 하는 취득세,
집값도 부담인데 세금까지 꽤 크다고 느끼실 겁니다.
특히 2024년 기준으로는 주택 수, 금액, 세대 상황에 따라
취득세율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하고 사는 게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주택 취득세율을
1 주택자, 다주택자, 생애최초 구입자 등 상황별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취득세란?
부동산, 차량, 기계 등을 취득할 때 내는 지방세로,
주택 거래 시 사는 사람이 납부해야 합니다.
지방자치단체에 납부되며, 대출이나 계약서 작성과는 별도로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2024년 주택 취득세율표
기본 세율 (1 주택자 기준)
주택 가격 | 세율 |
6억 원 이하 | 1.0% |
6억~9억 원 | 1.0~3.0% (누진세) |
9억 원 초과 | 3.0% |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는 감면 대상일 수 있어요.
다주택자 취득세율 (조정대상지역 기준)
주택 수 | 세율 |
2주택 | 8% |
3주택 이상 | 12% |
※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경우 일반세율이 적용됩니다.
취득세 계산 예시
- 1 주택자, 5억 원 아파트 → 5억 × 1% = 500만 원
- 2 주택자, 5억 원 아파트 → 5억 × 8% = 4,000만 원
- 1 주택인지 2 주택 인지, 조정대상지역인지 아닌지에 따라 엄청난 차이가 납니다.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감면
다음 요건을 만족하면 취득세 감면 가능합니다.
- 본인 명의 첫 주택
- 주택가격 1.5억~4억 이하 (지역별 기준 다름)
-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맞벌이 1억 이하)
중요 체크포인트
- 등기일 기준으로 주택 수 판단
- 조정대상지역 여부 반드시 확인
- 기혼자는 세대 합산으로 주택 수 판단
정리하자면
2024년 현재, 1 주택자와 다주택자의 취득세율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계약 전에 미리 계산해 보고,
감면 요건도 꼭 체크하세요!
▶ 주택 관련 세금 계산기 바로가기
'부동산 세금 정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세대 1주택 보유기간 거주기간 기준은? (0) | 2025.03.26 |
---|---|
2주택자 양도세 중과 피하는 법 (0) | 2025.03.25 |
양도소득세 계산법/ 실거래가 기준 정리 (0) | 2025.03.25 |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쉽게 정리 (0) | 2025.03.25 |
부동산 세금 체크 6가지 사례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