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0 입찰가 어떻게 써야 할까? 입찰가, 감으로 쓰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실전 투자자들이 입찰가를 정할 때 확인하는 핵심 포인트를 지금 알려드립니다.“감정가의 80%? 그냥 그렇게 쓰면 낙찰되나요?”경매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 제일 많이 하는 실수가 이겁니다. “감정가의 80%로 쓰면 적당하겠지” 하지만 실전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아요.입찰가는 감정가보다도 ‘진짜 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가격’, 즉 실거래 시세 를 기준으로 삼아야 해요.1. 입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3가지 시세 → 감정가가 아닌, 현재 주변 매매가 or 실거래가 최근 낙찰가 → 같은 단지, 유사 평형, 낙찰일자 기준 부동산 상태 → 하자 여부, 점유 여부, 리모델링 필요 여부이 세 가지는 입찰가 정할 때 절대 빼먹으면 안 되는 기본값이에요.2. 유찰된 .. 2025. 4. 18. NPL vs 경매, 초보에게 뭐가 더 위험할까? NPL vs 경매, 초보에게 뭐가 더 위험할까? NPL과 경매, 개념은 아는데 뭐가 더 유리한지 헷갈린다면? 이 글에서는 부동산 경매와 NPL의 차이점부터 수익 구조, 위험성, 초보자 추천 순서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1. 경매는 ‘부동산을 사는 것’, NPL은 ‘채권을 사는 것’경매는 법원 경매 절차를 통해 부동산을 낙찰받아 소유권을 이전받는 방식입니다. 반면 NPL은 ‘연체된 채권’을 매입해 채무자에게 돈을 회수하는 금융 투자 성격이 강하죠.2. 수익 방식이 다릅니다경매: 싸게 낙찰 → 리모델링 → 시세차익 or 월세 수익NPL: 채권 매입 → 채무자 변제 or 소송 통한 회수경매는 부동산 실물 자산이 있는 반면, NPL은 문서상 채권만 존재합니다. 그래서 NPL은 정보의 비대칭성·법률 해석력이 .. 2025. 4. 17. 경매 입주 가능한가요? 명도 vs 점유자 경매로 집을 낙찰받았는데, 내가 바로 들어가 살 수 있을까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낙찰 = 내 집'이라고 오해합니다. 하지만 안에 누군가 살고 있으면, 입주까지는 한참 남은 이야기일 수 있어요. 점유자 확인과 명도 절차는 입찰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명도 vs 점유자'에 대해 가장 현실적인 설명을 드릴게요. 📚 공매·경매 실전 시리즈 1. 공매 vs 경매, 뭐가 더 유리할까? 2. 권리분석 실패 사례 TOP3 3. 경매 입주 가능한가요? 명도 vs 점유자 4. NPL vs 경매, 초보에게 뭐가 더 위험할까? 5. 입찰가 어떻게 써야 할까?1. 낙찰받았다고 바로 입주할 수는 없습니다경매로 낙찰받으면 '바로 입주해서 살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죠. 그런데.. 2025. 4. 15. 권리분석 실패 사례 TOP3 권리분석 실수, 초보 투자자에게 가장 위험합니다.‘등기부 보는 법’이 아니라 ‘등기부를 어떻게 잘못 해석했는지’를 중심으로 실전 사례로 정리했습니다.📚 공매·경매 실전 시리즈1. 공매 vs 경매, 뭐가 더 유리할까? 2. 권리분석 실패 사례 TOP3 3. 경매 입주 가능한가요? 명도 vs 점유자 4. NPL vs 경매, 초보에게 뭐가 더 위험할까? 5. 입찰가 어떻게 써야 할까?1. 전세권 있는 줄 몰랐다가 낙찰자 된 사례전세권은 등기부에 표시되므로 잘만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소기준권리' 이전에 설정된 전세권이라면 낙찰 후에도 인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권리분석 초보자가 전세권 등기를 말소된 걸로 오인해 입찰했다가, 낙찰 이후 수천만 원 전세금을 물어내게 된 사례도 존재합니다.2.. 2025. 4. 15. 이전 1 ··· 5 6 7 8 9 10 11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