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 살면 비과세 받을 수 있다고요?”
양도세 비과세 조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말이 ‘보유기간 2년, 거주기간 2년’이죠.
그런데 정확한 기준과 계산 방식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1세대 1 주택 보유·거주기간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 놓았습니다.
보유기간이란?
‘취득일 ~ 양도일’ 사이의 기간을 의미합니다.
취득일은 보통 등기접수일로 판단합니다.
- 2020.5.10 취득 → 2024.6.1 양도 → 보유기간 약 4년 1개월
- 비과세 요건: 보유 2년 이상 필수 (조정지역 외)
거주기간이란?
해당 주소지에서 실제로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기간을 말합니다.
→ 등본상 전입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2021.1.1 전입 → 2023.1.1 전출 → 거주기간 2년
- 다만,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은 보유 + 거주 2년 모두 충족해야 비과세 받습니다.
지역별 비과세 요건 차이
지역 | 보유기간 | 거주기간 |
조정대상지역 | 2년 이상 | 2년 이상 |
비조정지역 | 2년 이상 | 요건 없음 |
※ 단, 2021.1.1 이전 취득 주택은 거주요건 적용 안 됨
예외 인정되는 경우
- 해외 체류, 병역, 질병, 취학 등 부득이한 사유로 거주가 불가하다면 → 일부 인정
- 상속받은 주택 → 거주요건 일부 면제 가능
주의할 점
- 1일 차이로도 과세 여부가 갈릴 수 있음
- 부부 공동명의일 경우 → 각각 보유·거주 따로 계산
- 기재부·국세청 유권해석 기준 확인 필요
정리하자면
1세대 1 주택 비과세를 받으려면 보유기간은 기본, 조정지역이라면 거주기간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계산은 등기일과 전입일을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 홈택스 양도세 비과세 검토 도구
'부동산 세금 정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취득세 계산법] 집살때 세금 얼마? 1주택자 무주택자 기준 총정리 (0) | 2025.03.26 |
---|---|
증여세 절세 전략| 사전증여 시기별 유리한 선택 (0) | 2025.03.26 |
2주택자 양도세 중과 피하는 법 (0) | 2025.03.25 |
양도소득세 계산법/ 실거래가 기준 정리 (0) | 2025.03.25 |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쉽게 정리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