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세 5% 인상 계산 – 렌트홈 임대료 계산기》
전세에서 반전세로 바뀔 때, 월세 얼마나 오를까?
계약갱신청구권을 쓰면서도 보증금은 그대로, 월세만 5% 인상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5%’는 보증금 전체가 아니라 전환 금액 기준입니다.
📌 전세 → 반전세, 5% 인상 계산법
예를 들어, 보증금 1억 원에서 2천만 원을 월세로 돌린다면?
- 전환 금액 = 2,000만 원
- 5% 전환 가능 이자 = 100만 원/년
- → 월세는 약 8만 3천 원까지 가능
이처럼 계산 공식이 존재하고, 이를 쉽게 도와주는 게 바로 국토부 '렌트홈 계산기'입니다.
렌트홈 임대료 계산기 이용법
- 렌트홈 계산기 바로가기
- 보증금과 월세 조정 금액 입력
- 연 5% 기준 자동 계산
- 허용 범위 이내 여부 확인 가능
법정 월세 전환율(2024년 기준)은 연 5%이므로, 이를 초과하는 경우 임차인이 이의제기 가능합니다.
주의할 점
- 5%는 '전체 보증금' 기준이 아니라 전환된 금액만 적용
- 임대인이 월세를 더 요구하는 경우, 합의가 없으면 효력 없음
- 계약서에 계산 결과 명시해두면 분쟁 예방 가능
함께 보면 좋은 글
마무리 요약
5% 인상 가능하다는 말에 속지 말고, 정확히 계산해보세요.
렌트홈 계산기는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부동산 실전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전세 계약 시 월세 전환 계산법 (0) | 2025.03.23 |
---|---|
전세 계약 연장 시 꼭 확인 해야 할 주의 사항 5가지 (0) | 2025.03.22 |
전세 vs 월세,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0) | 2025.03.22 |
소유권이전등기 셀프 (0) | 2025.03.21 |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방법과 절약방법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