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9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쉽게 정리 “집 팔면 세금 얼마나 나올까 궁금하시지요?” 집을 팔 때 가장 신경 쓰이는 건 바로 양도소득세입니다.하지만 ‘1세대 1 주택’ 조건을 만족하면양도세를 한 푼도 안 낼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으로 양도세 비과세 요건과 주의사항을알기 쉽게 정리해 놓았습니다.양도소득세란?부동산, 주식, 토지 등 자산을 팔아 생긴 차익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부동산의 경우, 실거래가 기준 양도차익에 대해 과세되며주택은 ‘비과세 조건’이 충족되면 면제받을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비과세 되는 1세대 1 주택 요건비과세가 되려면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1세대가 보유한 유일한 1주 택일 것보유기간 2년 이상일 것양도 당시 실거래가가 12억 원 이하일 것 (2023.1.1 개정)※.. 2025. 3. 25.
2024년 주택취득세율 총정리 “집 살 때 세금이 이렇게 다르다고요?” 주택을 살 때 내야 하는 취득세,집값도 부담인데 세금까지 꽤 크다고 느끼실 겁니다.특히 2024년 기준으로는 주택 수, 금액, 세대 상황에 따라취득세율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정확히 확인하고 사는 게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주택 취득세율을1 주택자, 다주택자, 생애최초 구입자 등 상황별로 정리해 놓았습니다.취득세란?부동산, 차량, 기계 등을 취득할 때 내는 지방세로,주택 거래 시 사는 사람이 납부해야 합니다.지방자치단체에 납부되며, 대출이나 계약서 작성과는 별도로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2024년 주택 취득세율표기본 세율 (1 주택자 기준)주택 가격세율6억 원 이하1.0%6억~9억 원1.0~3.0% (누진세)9억 원 초과3.0%※ 생애최초 주택 구.. 2025. 3. 25.
전세사기 지원금 받는 방법 | 신청 자격·필요서류 1. 전세사기 피해자, 누가 해당되나요?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한 상태에 있는 분임대인이 잠적, 파산, 명의신탁, 허위계약 등으로 책임을 회피한 경우세입자가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모두 갖추고 있을 것HUG(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피해사실확인서를 발급받은 분2. 정부·지자체 전세사기 지원 제도 (2024~2025 기준)① 긴급 주거지원 (LH 공공임대)피해사실확인서를 보유한 무주택 세입자를 대상LH 공공임대주택 또는 전세형 임대 우선 배정임대료는 시세의 30~50%최대 10년까지 거주 가능선착순 배정 원칙LH 긴급주거지원 바로가기② 전세사기 피해자 대출지원최대 2억 원까지 저금리 대출 지원금리 1.2~2%, 최장 10년 상환 가능HUG, HF(주택금융공사) 보증청년·신혼부부는 금리 우대복지로 전세금 대출 지원.. 2025. 3. 24.
전세 계약서 특약, 이렇게 써야 안전합니다 전세계약서를 작성할 때 가장 놓치기 쉬운 부분이 바로 ‘특약 사항’입니다.특약은 임대인과 임차인이 별도로 합의한 내용을 기록하는 것으로, 계약서 본문보다 더 중요한 효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1. 특약이 중요한 이유특약은 민법 제105조에 따라 당사자 간 자율적으로 정한 사항으로, 법보다 우선 적용될 수 있는 강력한 조항입니다.하지만 모호하게 작성하거나 구두로만 합의하면 분쟁 시 효력이 떨어지므로 꼭 문서로 명확히 작성해야 합니다.2. 꼭 넣어야 할 특약 예시수리 의무 명시: 누수, 보일러, 도배, 장판 등 책임 범위잔금 전 입주: 잔금 전 열쇠 인도 조건 명시임대인 실거주: 갱신 거절 사유가 실거주일 경우, 실제 거주 여부 확인대출 불가 시 해제: 대출 미승인 시 계약 해제 가능 조건보증보험 가입: HU..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