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실생활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정보를
3가지 시리즈로 정리해 드립니다.
- ① 부동산 실무 & 세금 시리즈
전세사기 예방, 계약 실무, 양도세·증여세 절세까지 - ② 청년복지 & 지원제도 시리즈
청년 전월세 지원, 생활비 바우처, 신청 가이드 모음 - ③ 블로그 수익화 & 성장기록 시리즈
애드센스 승인, 클릭률 전략, 수익 구조 실전 운영팁
집을 팔 때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질문 중 하나,
“양도세 안 내도 되는 조건이 뭐예요?”
바로 1세대 1 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4년 기준으로 비과세 받기 위한 핵심 요건 3가지를 간단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1세대 1주택'이란?
세대란 주민등록상 주소를 같이하는 가족 단위를 말합니다.
1세대가 1 주택만 보유한 상태여야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 배우자나 자녀 명의로 주택이 있으면 비과세 제외될 수 있습니다.
2. 보유기간 & 거주기간 요건
- 2년 이상 보유 → 기본 요건
- 2년 이상 실거주 → 조정대상지역일 경우 필수
2024년부터는 조정지역 여부 + 취득 시기에 따라 거주 요건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3. 실거래가 12억 이하 (비과세 한도)
1세대 1주택이라도 양도가액이 12억 원 초과면
초과분에 대해 양도세가 부과됩니다.
예) 15억에 팔 경우 → 3억 초과분에 대해 양도세 부과
Q. 이런 경우는?
- 2주택자인데 먼저 한 채를 팔면?
- 3년 거주했지만 배우자 명의로 된 집이 있다면?
- 증여받은 집도 비과세가 될까?
→ 아래 실제 상담 사례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양도세, 조건만 알면 절세됩니다
비과세는 무조건 되는 게 아니라, 조건이 맞아야 적용됩니다.
정확한 요건을 알고 미리 준비하면 수천만 원의 절세도 가능합니다.
'부동산 세금 정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종합부동산세 기준 & 세율, 이것만 보면 끝 (0) | 2025.04.07 |
---|---|
실수하면 돈 날리는 부동산 세금 신고 실수 TOP5 (0) | 2025.04.06 |
[2025 취득세 계산법] 집살때 세금 얼마? 1주택자 무주택자 기준 총정리 (0) | 2025.03.26 |
증여세 절세 전략| 사전증여 시기별 유리한 선택 (0) | 2025.03.26 |
1세대 1주택 보유기간 거주기간 기준은? (0) | 2025.03.26 |